창작의 세계에서 작가와 관객 사이의 소통은 언제나 중요한 요소입니다. 많은 작가들이 자신만의 행복과 독특한 이유로 작품을 만들며, 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이유와 표현방식이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작가와 관객 간의 이해의 간격이 멀어지고 있다는 것도 하나의 문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을 만드는 이유와 그것을 감상하는 동기 모두에 '소통'이라는 공통된 목적이 깔려있기 때문에 오늘날 작가노트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작가노트의 목적과 역할 그리고 작성 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by Munie Lee
작가노트의 목적과 역할
작가노트는 작가가 자신의 작품에 대한 해석과 의도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이것은 작가 자신뿐만 아니라 관객과 미술관계자에게도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해 줍니다. 또한 작가노트는 작품의 컨텍스트를 설정하고, 작가의 개인적이거나 사회적 통찰을 제공하며, 작품과 관객 사이의 대화를 촉진합니다.
또한 작가노트가 잘 작성되어 있다면 큐레이터나 평론가들도 작품을 더 정확하고 심도있게 해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신의 작품을 더 잘 알릴 수 있는 중요한 마케팅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작가노트 작성시 고려사항 3가지
1. 관객을 고려하지 않은 글
작가노트를 작성할 때, 작가와 미술관계자뿐만 아니라 관객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글을 쓰고 있는지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습니다. 복잡한 용어나 낯선 개념을 사용할 때는 그 의미를 명확히 설명하고 해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관객은 작품에 대해 더 깊은 이해와 연관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2. 현학적 표현의 남용
복잡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의 남용은 작품이 주는 메시지를 흐리게 하고, 관객과 더 멀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자신의 작품이 주는 복잡한 느낌을 전달하고 싶을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표현의 밸런스'가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과도한 전문 용어나 낯선 개념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고, 그렇지 않다면 더 일반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작품의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해보세요.
3. 서론, 본론, 결론이 모호한 글
작가노트는 명확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서론에서는 작품의 중심 주제와 그 주제의 중요성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본론에서는 그 주제가 왜 중요한 지, 작품이 어떠한 방법과 관점으로 이를 탐구하고 있는 지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 작품은 디지털 시대의 고립을 탐구합니다"라는 주제가 있다면, 본론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고립이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작품이 이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는지 등을 담아내야 합니다. 결론에서는 작품 주제의 중요성을 한번 더 강조하고, 관객이 어떻게 작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 설명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나만의 작가노트 스타일 구축하기
이번 글에는 작가노트 예시를 구체적으로 담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웹서핑을 통해 기존에 작성된 작가노트를 너무 많이 참조하다 보니 반대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목소리와 스타일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뺏기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고민 때문입니다.
물론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는 것은 유용할 순 있지만 그보다 앞서 다양한 글을 읽고, 그 중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문체와 표현법을 찾아가는 과정이 더 중요합니다. 책을 읽거나 다른 예술작품을 감상하면서, '이 작가나 예술가는 어떻게 자신의 작품과 생각을 표현했을까?'라는 질문을 던져보세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가 본인만의 스타일을 구축해 나가는 것이 장기적으로 바라봤을 때 작가로서의 성장과 더불어, 관객과의 소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토 아카이브 전시 보러가기
nexTicket에 초대합니다
munie,공준영,김강민,김민정,김세이,백강혁,송명준,이효경
www.atto.gallery
'전시 준비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카이브 전시, 어디까지 알고 있니? (0) | 2023.10.26 |
---|---|
미술 작품 설명 쓰기 | 작품 설명, 작가노트 차이점 (1) | 2023.10.03 |